Copyright(C) 대구광역시 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
All Rights Reserved.
본 웹진은 대구광역시 보조금을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전문가 기고
정태열 교수 / 전현정 사무국장
오봉산길마을 사람들 주도 도시재생 리빙랩
정태열 경북대학교 조경학과/도시재생대학원 교수
(2024 주민주도 도시재생 리빙랩 워크숍 전문가)
주민주도 도시재생 리빙랩 이란
대구광역시 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에서 실시한 2024 주민주도 도시재생 리빙랩이란 “지역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고, 그 계획을 실행하는 활동에 참여하면서 시민의식 강화와 지역의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대구형 주민주도적 도시문제 해결 지원사업” 이다. 올해 처음 실시하는 리빙랩은 3개 팀이 선정되었으며, 필자는 도시재생 전문가로 리빙랩 운영 설명회 때 지역 주민들을 처음 만났다. 필자가 담당한 팀인 북구 침산1동 “오봉산길마을 사람들”은 2017년 대구시 주민참여 도시학교의 경험과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도시재생사업 경험으로 3팀 가운데 도시재생사업의 이해도와 시민의식이 가장 높을 것으로 생각하며 마음속으로는 오봉산길마을 사람들과 함께 워크숍을 통한 사업계획의 구체화는 용이할 것으로 생각한 것이 크나큰 오산이었다는 것을 나중에야 알게 되었다.
주민주도 도시재생 리빙랩 워크숍 이란
본 리빙랩 워크숍의 목적은 주민들이 제안한 사업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먼저, 주민들이 제안한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그리고 내용을 파악했다. 주민들이 희망하는 사업은 오봉우리꽃밭 1호에서 4호까지 4개소 정비, 벽화 및 벤치 재정비, 쓰레기 분리수거장 설치였으나, 제한된 사업비에 주민주도적으로 사업(주민들이 잘 할 수 있는 것)을 시행 가능한지에 대한 검토를 1차적으로 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주민 의견 및 참여를 어떻게 이끌어 내느냐” 가 관건이라고 생각한다1). 다음은 오봉산길마을 사람들과 함께한 리빙랩 워크숍을 소개하고자 한다.
1차 워크숍_침산1동 오봉산길마을 사람들 리빙랩 준비단계
1차 워크숍은 리빙랩에 대한 개념 및 사례분석을 통해 대구형 주민주도적 도시문제 해결 지원사업 이해도를 높이고자 했다. 그래서 침산1동 오봉산길마을 이미지의 중요성 및 찾는 방법, 주민참여를 통한 지역자원 발굴 사례, 주민참여 토론회 운영 및 주민협의체 구성 사례, 주민참여 도시재생 활동 사례(2016 야시골 커뮤니티가든, 2021 복현1동 청년소셜리빙랩 마을정원), 그리고 주민들의 역할에 대해 특강을 실시했다.
<리빙랩 준비단계 특강>
출처 : 대구 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
2차 워크숍_침산1동 오봉산길마을 사람들 리빙랩 대상지 탐색
2차 워크숍은 1부와 2부로 나누어 진행했다. 먼저, 주민들이 제안한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내용, 그리고 1차 워크숍에서 주민 인터뷰 결과 마을정원에 관심이 높다는 것을 파악하여 1부는 제한된 사업비에서 주민주도적으로 사업(주민들이 잘 할 수 있는 것) 시행이 가능한 다양한 정원(게릴라가든, 커뮤니티가든, 마을정원, 마을마당, 커뮤니티가든)을 소개하는 특강을 실시하고, 2부는 오봉산길마을에 정원 조성이 가능한 대상지 후보1∼4 답사(타운 워칭)를 주민들과 함께 실시했다. 그리고 최종대상지 선정은 3차 워크숍 시작 전일까지 결정하기로 했다. 최종대상지 선정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본 리빙랩에 참여하지 않고 있는 주민, 그리고 구청과의 협의”가 전제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대상지 후보1 / 대상지 후보2 / 대상지 후보3>
출처 : 오봉산길마을 사람들
3,4차 워크숍_침산1동 오봉산길마을 사람들 리빙랩 아이디어 도출 및 구체화
3차 워크숍도 1, 2부로 나누어 진행했다. 1부는 주민참여를 통한 주민이 직접 조성한 커뮤니티가든 사례를 준비했으나, 별 도움이 될 것 같지 않아서 특강을 취소하고 2부(아이디어 도출)를 바로 진행했다. 왜냐하면 리빙랩 최종대상지 후보지1(주차장 정원)과 후보지2(마을길 정원)는 구청과 지역주민들의 동의 및 참여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구청과 지역주민들의 동의를 받지 못해서 오봉우리꽃밭 1호, 2호, 3호를 재정비하는 쪽으로 결정했다. 아이디어는 대상지의 문제점과 조성방향을 주민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하면서 도출했다. 마지막 4차 워크숍은 주민들이 시공 가능한 아이디어를 예산 산정과 조정을 하면서 구체화했다.
<아이디어 도출 과정>
출처 : 대구 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
출처 : 오봉산길마을 사람들
주민주도 도시재생 리빙랩은 주민의 주체적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리빙랩을 성공하기 위한 선결조건으로 첫째, 보다 많은 주민들의 참여 유도와 그 주민들의 의지. 둘째, 구체적인 사업대상지 확보. 셋째, 충분한 워크숍 횟수 확보. 올해 첫 시행한 4회차 워크숍은 사업내용에 따라 다르겠지만 정원조성의 경우는 정원의 이해, 대상지 선정, 정원구상, 디자인 구체화, 재료 및 소재 선정, 예산안 작성, 시공 등 소정의 목표 달성은 힘든다고 생각 됨. 넷째, 진행방법 개선. 예를 들면, 필자가 2021년 복현1동 주민들과 시행한 청년소셜리빙랩 마을정원 조성때는 정원설계 수업과 연계하여 주민과 학생 그리고 교수가 함께한 것이 효과적이었다고 생각된다.
도시재생은 시장님만이, 공무원만이, 전문가만이 열심히 해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도시를 구성하고 있는 공동체 구성원 전체가 참여해야만 해결된다는 아주 단순한 명제에 입각하여 실행하기를 기대한다. 주민이 주도하는 도시재생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누군가(행정, 전문가 등)는 동기를 부여하고, 누군가(도시재생지원센터 등)는 주민주도 참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리고 주민은 참가하고 도시재생 놀이도 해보고 실제로 실행도 하면서 도시는 점점 주민이 원하는 마을과 도시로 성장함과 동시에 그 주민은 마을 활동가에서 도시재생 전문가로 거듭나리라 생각된다. 그때가 언제인지는 알 수 없으나 우리 모두 한 걸음씩 앞으로 나아간다면 처음 도시재생을 꿈꿔왔던 세상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1) 정태열(2017) 도시재생에 있어서 조경가의 역할, https://www.lafent.com/
오봉우리 꽃밭이여, 영원하라!
전현정 침산오봉협동조합 사무국장
(2024 주민주도 도시재생 리빙랩 '오봉산길마을 사람들'팀)
출처 : 침산1동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출처 : 침산1동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출처 : 직접 촬영
출처 : 직접 촬영
'); mywindow.document.write(''); mywindow.document.write(''); mywindow.document.write(''); mywindow.document.write(''); mywindow.document.write(''); mywindow.document.write(data); mywindow.document.wr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