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 웹진
달구벌 도시재생 이야기

웹진 Vol.58_2024.02

웹진 구독신청 하기

이전 버전 웹진 보기

Copyright(C) 대구광역시 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
All Rights Reserved.

본 웹진은 대구광역시 보조금을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도시재생 사례

근대 건축 자산의 보존, 그리고 공공의 역할

최현기 연구원

지역 건축 자산의 의미

​  2014년 6월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이 법은 문화재로 지정되지는 않았지만 역사적·사회적·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건축 자산을 보존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이 법에서는 건축 자산을 ‘현재와 미래에 유효한 사회적·경제적·경관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서 고유의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지니거나 지역의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고 있는 건축물, 공간 환경, 기반 시설’로 정의하고 있다.
  최근 우리 주변에서는 건축 자산을 발굴하고 그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자 하는 시도가 늘고 있다. 그중에서도 특히 근대 건축 자산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다. 근대 건축 자산은 일반적으로 건립 이후 약 50년에서 100년 정도가 지난 건물로서, 우리의 경우 개항 이후(1876년)부터 1960년대까지의 건축물에 여기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근대 건축 자산은 개항지를 비롯한 대도시에 주로 남아 있는데, 지금까지 우리는 그 가치의 중요성을 간과해온 것이 사실이다. 이는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문화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그리 대단한 것이 없다는 인식 때문이기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 상당수가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것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건물 자체가 일제에 의한 침탈의 역사를 상징하고 있다는 인식이 근대 건축 자산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에 반영된 것이다. 근대 건축물을 ‘적산가옥’이라고 부른다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듯, 우리는 그 건물들을 일본인들이 버리고 간 주택 정도로 치부하였다. 이에 많은 근대 건축 자산들이 도시가 개발되는 과정에서 철거되거나 관리 소홀로 방치 또는 멸실되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그러한 역사를 간직한 건물 자체가 후대에 교훈을 남길 수 있는 자산이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또한 근대 건축 자산은 역사의 일부일 뿐 아니라, 그 겉모습 또한 눈여겨볼 만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근대 건축 자산이 기존의 시가지를 활성화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으로 여겨지고 있는 만큼, 도시재생 분야에서도 이를 발굴하여 오래된 건물에 새로운 기능과 용도를 더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근대 건축 자산 활용 사례

-​문화역서울284-

  문화역서울284는 옛 서울역 역사(驛舍)의 원형을 복원하여 2011년 새로 개관하였다. 옛 서울역 건물은 1900년에 목조로 지어진 남대문 정거장이 그 원형이다. 이를 1925년에 르네상스식 건축물로 새롭게 신축하며 역의 이름도 ‘경성역’으로 바꾸었다. 2004년에는 이 옛 건물을 폐쇄하고 2009년부터 원형 복원 공사를 진행하였다. 2011년 완공된 건축물은 ‘문화역서울284’라는 새로운 이름을 달고 지금까지 복합 문화 공간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준공 당시 경성역사(), 문화역서울284()>

출처: 문화역서울284, 한국관광공사

 

-군산 근대건축관-

  군산 근대건축관은 본래 1923년에 지어진 옛 조선은행 군산 지점 건물이었다. 이는 일제강점기 군산 지역의 대표적인 금융 시설이었다. 당대 군산을 배경으로 한 채만식의 소설 탁류에도 등장할 만큼 군산의 근대사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건물로 꼽히는 곳이다. 옛 조선은행은 1879년 부산에 처음 진출한 국립 제일은행이 그 전신이며, 이후 조선은행으로 개칭되며 조선총독부의 직속 금융기관 역할을 하였다. 건축물의 설계는 당시 한국에서 활동하던 일본인 건축가 나카무라 요시헤이가 맡았으며, 일제강점기 시대의 금융 기구라는 역사적 의미뿐 아니라 그 건축사적 가치가 인정되어 국가등록문화재 제374호로 지정되었다. 1981년 개인 소유로 변경된 뒤, 1990년대 화재로 줄곧 방치되다 이후 군산시가 매입하여 2013군산 근대건축관으로 개관하게 되었다.

<옛 조선은행 군산 지점(보수 전)(), 근대건축관 개관 후()>

출처: 국가문화유산포털, 한국관광공사

 

-대구근대역사관-

<대구근대역사관 전경>

출처: 직접촬영

 

  대구근대역사관이 위치한 곳은 조선시대부터 약 500년간 대구의 중심 지역으로 발전해왔다. 이곳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경북도청, 대구 우체국 등이 입지해 있었던 정치경제의 중심지였다. 이후 도심 공동화 현상이 나타나면서 이 지역은 쇠퇴하게 되었다. 오늘날 이 일대에 위치한 경상감영공원 등을 찾는 시민들의 연령은 대부분 60대 이상의 고령자이다.

  대구시 중구 경상감영길 67(포정동 33)에 위치한 근대역사관은 본래 1931조선식산은행 대구 지점으로 지어진 건물이다. 해방 뒤 한국산업은행 대구 지점으로 쓰이다가, 2008년 대구도시공사가 매입하여 대구시에 기증하여 대구근대역사관으로 새롭게 문을 열게 되었다.

  이 건물은 2층짜리 철근 콘크리트 건물로 남북으로 약간 긴 장방형이며, 남측과 서측 중앙에 있는 출입구의 포치(porch)를 중심으로 외관이 대칭을 이루고 있다. 벽체는 화강석 다듬돌을 쌓아 하부 벽을 만들고 그 위에 상부 벽을 구성했고, 독일에서 수입해 온 타일을 붙였다고 한다. 이전 시대의 은행 건물이 가진 일반적인 특징과 달리 정면의 장식은 비교적 단순하고 지붕은 슬라브로 처리하여 수평선이 강조되었으며 르네상스적인 분위기마저 느낄 수 있다. 이 건물은 전체적인 형태가 건축 당시의 모습을 잘 유지하고 있는 까닭에 그 역사적건축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3년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대구근대역사관은 지상 2, 지하 1층으로 상설 전시장과 기획 전시실, 체험실 등을 갖추고 있다. 이 건물이 조선식산은행으로 쓰이던 당시의 자료와 대구의 역사를 시대별로 정리한 역사 연표, 모형으로 표현한 근대 대구의 모습, 우리나라 최초의 시내버스인 부영버스 체험 등 과거 대구의 모습을 잘 담아낸 콘텐츠가 이곳에 마련되어 있다. 그 밖에도 대구·경북 지역의 시대상을 반영한 유물 전시, 대구의 지도와 사진 등 지역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전시 등을 기획운영하고 있다.

 

<대구근대역사관 전시 안내>

출처: 대구근대역사관

 

 

 

근대 건축 자산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 그리고 공공의 역할

 

  근대 건축 자산은 랜드마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기도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근대 건축 자산은 민간에서 소유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시민들에게 열려 있지 않은 곳이 많다. 그뿐만 아니라 대구 도심에 많은 근대 건축 자산이 존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는 곳은 드물다. 정보를 찾아 건물을 찾는다고 해도 건축 자산에 대한 설명이나 안내는 전무하다. 지역 건축 자산은 장기적으로 지역 활성화의 주요한 자원으로 쓰일 수 있는 만큼, 그것의 보존 및 활용에 대한 인식의 확산이 필요하다. 아울러 이러한 과정에서 공공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한다. 앞서 살펴보았던 대구근대역사관처럼, 근대 건축 자산을 활용하여 시민들에게 우리의 역사를 알리는 공공 공간은 시민들의 건축 자산에 대한 이해와 공감대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지역민의 정체성 형성에도 이바지한다.

  현재 대구에서는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건축 자산 진흥 구역을 지정관리하고 있다. 앞으로도 지역 건축 자산의 보존 및 활용에 대한 인식을 확산하고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서 공공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건축 자산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 일을 민간의 영역에 맡겨 둘 것이 아니라, 공공의 영역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움직여야 한다. 이는 근대 건축 자산의 가치를 더욱 높이는 길이자, 지역 활성화도 이끌어낼 수 있는 길이다.

 

 

참고자료

1. 심경미, 지역의 건축문화자산을 활용한 도시재생 의의와 지원제도,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4.

2. 김기철, 대구 도심 근대건축문화재 관리 및 활용방안, 대구경북연구원, 2009.

3. 이한기, 근대건축물의 전시관 전용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제25, 2009.

4. 대구가톨릭대학교 박물관, 근대문화유산 목록화 보고서, 대구광역시, 2004.

5. 한상우, 경남지역 근대문화유산의 창조적 활용방안 연구, 경남발전연구원, 2013.

6. 경남관광 길잡이 홈페이지, tour.gyeongnam.go.kr

7. 대한민국구석구석 홈페이지, korean.visitkorea.or.kr

8. 대구근대역사관 홈페이지, artcenter.daegu.go.kr

9. 문화역서울284 홈페이지, www.seoul284.org

10. 군산시청 문화관광 홈페이지, www.gunsan.go.kr/tour/m2226

11. 국가문화유산포털 홈페이지, www.heritage.go.kr/heri/idx/index.do


목록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