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 웹진
달구벌 도시재생 이야기

웹진 Vol.58_2024.02

웹진 구독신청 하기

이전 버전 웹진 보기

Copyright(C) 대구광역시 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
All Rights Reserved.

본 웹진은 대구광역시 보조금을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도시재생 사례

도시재생거점시설 조성 및 운영현황

김서우(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 연구원)

대구 도시재생거점시설 조성 및 운영현황



대구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는 2022년 6월 8일에서 10월 5일까지 도시재생 사업 성과 중 하나로 설치된 사업지 내 ‘도시재생거점시설’ 현황 및 활용실태 파악을 위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현재 활용되고 있는 거점시설 37개소를 파악하였음. 지금까지 파악된 조성 및 운영현황을 바탕으로 다음 조사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하고 향후 정책적 방안모색을 위해 활용할 예정임



1. 도시재생거점시설 조사개요


   ❚ 도시재생거점시설이란?


• 도시재생사업지 내에서 공공자원으로 건립된 주요시설을 말하며, 공동이용시설* 집객시설** 등을 포함한 다양한 

    도시재생 활성화 목적의 용도를 담은 공간을 통칭함

• 관련규정 :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 2조 10항(도시재생 기반시설) 및 

    동법 시행령 제3조(공동이용시설)에서 정하는 시설


 * 공동이용시설 : 주민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놀이터, 마을회관, 공동작업장, 공유부엌 등 

     지역주민들의 공유공간 및 마을의 환경 개선을 위해 필요한 시설

** 집객시설 : 마을카페, 마을펍, 공방·공연장 등 문화예술시설 등 지역내외의 시민들이 모이고 활동하며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용도로 조성된 시설

      참고. 2022 마을관리사회적협동조합 사업 모델 가이드북 거점시설 운영관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 조사개요 및 과정


• 조사목적 : 도시재생 사업 성과 중 하나로 설치된 사업지 내 ‘도시재생거점시설’ 현황 

    및 활용실태 파악

• 조사대상 : 대구시 내 조성완료되어 현재 활용되고 있는 도시재생거점시설

• 조사방법 : 기초·현장 도시재생지원센터를 통한 설문조사, 담당자 전화인터뷰, 

    문헌조사 등

• 조사내용 : 사업명칭·유형, 대상지 위치, 시설 내 프로그램 운영현황, 건설개요

    (시설규모, 사업비), 운영관리주체 

• 조사과정 

    ① 기초조사 단계 : 설문조사 및 실무자 간담회를 통한 조사결과 공유

    ② 세부조사 단계 : 대구시 구군별 도시재생거점시설 현황파악 및 내부 워크숍 운영

    ③ 유형분류 : 시설기능 및 운영관리 주체 기준으로 시설유형을 분류함

    ④ 결과 : 시설기능 5개 유형(A.주민복지/B.문화(예술·체험)/C.청년창업/D.지역특화

      /E.상권활성화), 운영관리주체 5개 유형(협동조합, 도시재생지원센터, 단체, 기관, 행정)


2. 도시재생거점시설 조사범위 및 유형구분  


  ❚ 조사대상

    • 대구 도시재생 사업지 총 61개소 (사업완료 대상지 34개소, 사업진행중인 대상지 

         27개소) 중 조성 완료되어 현재 활용하고 있는 거점시설 37개소가 파악됨

    • 조사된 시설 37개소의 구군별 분포를 살펴보자면 조성완료 된 대상지의 절반 이상이 

        ‘서구(10개소, 27.0%)’와 ‘중구(9개소, 24.3%)’에 분포하고 있음. 그 뒤를 이어 ‘남구

        ·북구(6개소)’ 각각 16.2%, ‘동구·달서구·수성구(2개소)’ 각각 5.4% 분포함. 본 조사

        방법을 통해서는 달성군은 현재 조성완료 대상지가 확인되지 않았음


 


  ❚ 시설기능 유형구분

  • 시설기능은 유사한 형태로 구분되는 주요용도를 기준으로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함,

      운영주체 또한 5가지 유형으로 파악되어 “시설기능”과 “운영주체”를 연결하여 전체 

      거점시설을 유형별로 데이터를 정리함

 

      Ex. A-1의 시설이 존재할 경우 “주민복지”용도의 시설의 운영주체는 “협동조합”임 


 


3. 시설유형별 특징


   ❚ 대구시 및 구군별 도시재생거점시설 기능별 설치현황


    • 대구시 내 거점시설의 설치현황을 살펴보자면, 'A.주민복지(14개소)’ 37.8%, 

         ‘B.문화(체험·예술, 13개소)’ 35.1%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E.상권활성화(6개소)’ 

          16.2% 순으로 나타남

    • 구군별로 설치현황을 살펴보면, 가장 고르게 분포하는 시설기능은 ‘A.주민복지와 ‘B.문화

        (체험·예술)’ 기능으로 5개구에 분포되어 있음. 또한 아래 그래프에서 특징점으로 

        보여지는 내용으로 서구의 경우 4개 유형의 시설이 분포하여 타지역에 비해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고 있는것으로 보임


 

❚ 시설기능별 분포현황

   • A. 주민복지(13개소) 유형의 분포는 대구시 중심부에 주로 분포하며, 6개 구군 중 중구의 

       분포비율이 가장 높음. 이는 중구의 경우 상업지구가 많이 분포한 지역으로 주민복지 

       시설이 부족한 점을 반영해 도시재생사업으로 시설 조성비중을 높인것으로 보았음 

  • B. 문화(예술·체험, 14개소) 유형의 경우 서구의 시설 분포 비중이 높음. 서구는 기존 

      공동체 활동이 많은 지역으로 활동 결과물 전시 및 활동을 위한 공간의 수요로 인해 

      조성비중이 높은 것으로 보임

  • C. 청년창업(2개소), D. 지역특화(2개소), E. 상권활성화(6개소) 3개 시설 유형은 

      '지역특성화' 차원의 시설 조성이 이루어지고 있는것으로 보임. C. 청년창업 지원으로 

      새로운 사업 아이템을 발굴하며, D.지역특화 아이템을 통해 대구만의 특색있는 사업을 운영

      하며, E. 상권활성화 시설을 통해 기존 상권의 활성화를 위한 시설을 조성함


 



4. 운영주체별 특징


   ❚ 대구시 및 구군별 도시재생거점시설 운영주체별 현황

    • 대구시 운영주체별 현황을 살펴보면 ‘1.협동조합(19개소)’ 51.4%, 2.센터(7개소)

       18.9%, 4.기관(5개소) 13.5%, ‘3.단체·5.행정(3개소)’ 각각 8.1% 순으로 나타나고 있음

    • 구군별로 구분할 경우 또한 ‘협동조합’ 형태의 운영주체가 6개구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기관·센터’운영이 각각 5개구 순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 아래 그래프의 

        특징점으로 남구의 경우 운영주체 5개 유형이 모두 나타나고 있어 다양한 참여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임

 


5. 정책제안


  앞서 정리된 현황을 바탕으로 세가지의 정책을 제안함. 첫째 거점시설의 지속적인 관리 및 운영체계 구축을 위해 신규시설의 조성과 운영 등을 위한 기초 지자체의 거점시설 관리체계 마련이 필요함. 구체적으로 기획·계획·건설·관리 등을 포함한(가칭) 도시재생거점시설 건설 및 관리·운영 매뉴얼을 마련하여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함. 둘째 도시재생 커뮤니티의 지속적인 활동과 거점시설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지원 방안 모색이 필요함. 도시재생 사업종료 이후 대상지 주민들이 자립적으로 시설을 운영할 수 있는 운영방법의 고안과 거점시설을 통한 지역수익 사업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방법의 고안이 필요함. 마지막으로 도시재생거점시설을 활용한 창의적 사업 발굴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도시재생거점시설간 또는 지역 관광명소를 연결한 대구 도시재생 투어루트 개발 등으로 도시재생 사업 성과를 홍보하고, 이와 연계하여 도시재생해설사 교육 및 전문인력 양성 등의 파생사업을 계획해볼 수 있겠다. 또한 지역활성화를 위한 거점시설의 공간대여 등 대상지 주민뿐만 아니라 일반시민 대상의 사업을 운영하며, 시설의 방문자 증대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목록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