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yright(C) 대구광역시 창의도시재생지원센터.
All Rights Reserved.
본 웹진은 대구광역시 보조금을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전문가 기고
문창용(광주시 도시재생공동체센터팀장)
광주광역시 도시재생공동체센터 소개
광주광역시 도시재생공동체센터는 「도시재생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제11조(도시재생지원센터)」, 「광주광역시 도시재생 기본조례 제20조」, 「광주광역시 살기좋은 마을만들기 지원조례 제22조」에 근거하여 사단법인 형태로 2017년에 설립되었다. 센터의 설립목적은 관련 조례와 기관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광주광역시의 도시재생사업과 마을공동체 사업을 광역단위에서 지원하는 역할이다.
센터는 센터의 전반적인 운영을 담당하는 운영지원팀(4), 도시재생사업을 지원하는 도시재생팀(5), 마을공동체사업을 지원하는 마을공동체팀(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표이사(1)를 포함하여 총 17명이 근무하고 있다. 주요사업은 도시재생과 마을공동체 분야에서 정책연구 및 모델발굴, 도시재생 및 마을공동체 활성화지원사업, 전문인력양성 및 역량강화, 네트워크 구축 및 신규사업발굴 등이다.
현재까지 광주광역센터는 국비공모사업의 선정 및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주민과 행정, 전문가 사이에서 중간지원을 담당하는 역할을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향후 국비공모사업 추진으로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광주만의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광주광역시 뉴딜사업 현황
먼저, 광주는 국가방침에 따라 광주 전체를 대상으로 쇠퇴지역을 분석하여 「도시재생전략계획」을 수립하고, 총 60개 지역의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을 지정하였다. 60개 지역을 행정동 범위로 분석해보면 총 96개 행정동 중 51개에 해당하는 지역이다. 총 60개의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중 상업 및 주거재생 등 유형별로 나누어 재생사업이 시급한 지역을 국비공모사업을 통해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2014 ~ 2021년까지 광주 도시재생사업은 (선도·일반지역·뉴딜) 총 20개소이다.
광주 도시재생사업 20개소 중 완료된 현장은 2014년 동구 선도지역사업이며, 2017년 서구 농성동 우리동네살리기사업으로 2개소이다. 나머지 18개소는 사업이 추진 중이며 2016년도 사업들이 올해 사업완료가 도래하고 있다. 도시재생 5개 사업유형별로 살펴보면, 경제기반형 1곳, 중심시가지형 4곳, 일반근린형 4곳, 주거지지원형 4곳, 우리동네살리기 4곳이며 신규제도로는 혁신지구 1곳, 인정사업 2곳이다. 그 현황은 다음 <그림2>와 같다.
<그림2> 광주광역시 도시재생뉴딜사업 선정 현황
(이미지 출처 : 2021 광주 도시재생뉴딜사업 모니터링 결과보고서)
2022년 도시재생 사업계획
① 도시재생 인력양성 및 역량강화사업은 도시재생 활동인력을 양성하고 센터 실무자 역량을 강화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의 목적은 도시재생 사업 주체를 청년, 시민, 실무자 등으로 나누어 각 대상별로 필요한 양성교육을 통해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다. 2021년에는 센터실무자의 역량강화를 위해 도시재생 業up스쿨을 진행하였으며, 청년인력을 발굴하기 위해 청년캠퍼스를 진행하였다. 올해는 청년아카데미(8차시 팀프로젝트형), 시민아카데미(6차시 이론강의), 실무아카데미(4회 세미나 및 견학)로 나누어 교육프로그램을 진행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도시재생분야에서 활동력을 갖춘 청년인력 양성, 센터 실무자의 문제해결 역량 강화, 시민들의 도시재생인식과 저변확대를 기대하고 있다.
② 도시재생 정책연구는 광주다운 도시재생 정책수립 지원을 위한 정책연구와 포럼을 운영하는 사업이다. 정책연구는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사업추진과정에서 어려움이 있는 과제해결을 지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2021년에는 도시재생 거점시설(개소)에 대한 운영 및 관리 조직에 관한 현장 요구에 대응하는 ‘광주형 도시재생 앵커시설 운영조직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올해에도 이와 같이 도시재생사업을 지원하는 정책연구나 광역센터의 자체사업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③ 도시재생 공모전 및 신규사업 발굴은 도시재생사업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사업계획(안)을 수립하여 각종 공모사업에 대응하는 현장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본 사업은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중 국비공모사업을 준비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현장조사, 주민의견수렴, 전문가 컨설팅을 거쳐 공간 및 사업계획(안) 등 구상서를 마련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2021년에는 상반기에 10개 시상하였으며, 하반기에는 학동 주민들의 현장수요를 반영 한 학동 마을 재생 구상(안)을 마련하였다. 올해 공모전은 작년에 선정된 뉴딜사업지역과 협력하여 거점시설의 공간설계 및 프로그램운영계획을 발굴 지원할 계획이다.
④ 도시재생사업 모니터링은 선정된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대한 사업추진현황 점검을 지원하고 사업추진에 따른 성과지표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2021년에는 국토부에서 매년 정기적으로 사업성과를 기록하는 지표와 더불어 지역특성을 반영한 실적 및 성과지표를 별도로 구축하였다. 올해에는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역은 구축된 지표를 통해 성과 및 변화과정을 기록할 계획이며, 미선정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은 잠재력 및 쇠퇴현황을 기록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사업추진지역은 성과 및 사업관리를 지원하고, 향후 국비공모 및 자체사업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⑤ 도시재생 네트워크는 현장지원센터간 네트워크(센터장, 실무자)와 대외협력 네트워크(전센협, 유관기관)로 나뉜다. 광주광역시 도시재생지원센터(뉴딜·새뜰사업)는 총 23개소로 116명(1개소당 평균 5명)이 근무하고 있다. 올해 현장네트워크 간담회는 사업유형별로 연간 10회 정도 진행할 계획이며, 다양한 의견수렴과 현장이슈를 정리하여 정책연구 및 세미나·워크숍과 연계하여 현장센터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전국·지역 대규모 행사(산업박람회, 한마당) 지원, 민관합동 워크숍 운영, 네트워크 소식지 발간, 도시재생 서포터즈 운영 등 대내·외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2021년 도시재생지원센터 실무자 간담회> <2021년 도시재생 네트워크 소식지>